“선 복귀·후 대화 정부 입장 확고”
“오늘 총투표서 현명한 판단 기대”
원 장관은 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화물연대가 주장하는 ‘안전운임제 3년 연장’은 11월22일 정부·여당이 국가적 피해를 막기 위해 제안한 적은 있으나, 화물연대가 11월24일 집단운송거부에 돌입했기 때문에 그 제안이 무효화된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품목 확대 논의를 요구하고 있으나, 품목 확대는 불가하다는 것이 정부·여당의 일관된 입장”이라면서 “선(先) 복귀·후(後) 대화라는 정부의 입장은 확고하며, 여기에는 어떠한 조건도 있을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확대를 요구하며 16일째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전방위적 압박에 막대한 경제 손실, 파업 장기화에 따른 조합원 생계 문제 등이 누적되며 이날 파업 철회 여부에 대한 조합원 총투표에 들어갔다. 조합원 총투표를 결정한 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도의 일몰을 막기 위해 대승적 결정을 내렸다”면서 “정부와 여당은 당정 협의를 통해 발표했던 안전운임제 3년 연장 약속이나마 지키라”고 요구했다.
이날 원 장관은 “국가 경제에 심각한 피해와 국민 불편을 16일 동안이나 끼치고, 운송개시명령이 두 차례 발동되고 나서야 뒤늦게 현장 복귀가 논의되는 것은 유감”이라면서 “오늘 총투표에서 화물연대 구성원들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세종 옥성구 기자